홈| 사이트맵 어선조업후기 보도자료 선원모집 선원모집 (채용정보) 질문&답변 질문 & 답변 구직신청 신청 및 문의 오시는길 찾아오시는길 회사안내 어장일꾼 인사말 홈 사이트맵 어선조업후기 보도자료 선원모집 선원모집 (채용정보) 질문&답변 질문 & 답변 구직신청 신청 및 문의 오시는길 찾아오시는길 회사안내 어장일꾼 인사말 신청 및 문의 Home > Application Home. 구직신청. 신청 및 문의 신청 및 문의 신청 및 문의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•수집항목 : 이름, 나이, 주소, 전화번호, 휴대폰번호, 최소희망급여, 최대근무기간, 군복무, 승선경력, 내용 •수집목적 : 문의접수 및 결과 회신 •이용기간 :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 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. * 단, 관계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일정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관할 수 있습니다. 동의함 동의 안 함 이름 나이 주소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최소희망급여 최대근무기간 군복무 예 , 아니오 승선경력 예 , 아니오 내용필수 이 게시판은 최소 5글자 이상, 최대 0글자 이하까지 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. 웹에디터 시작 > > > > > 외국인 선원 고용허가제 실효성 의문 > 어민 일손 대체 목적…위장 취업 등 악용 다수 제도 보완 시급 > > 2013년 11월 28일 (목) 채명룡 기자 APSUN@sjbnews.com > > > 어민들의 부족한 일손을 대신하기 위해 고용허가제를 통하여 외국인 선원들이 대거 들어오고 있지만 대부분 불법 체류를 위한 위장 취업의 경로로 이용하는 등 실효성이 의문시 되고 있다. > > 28일 군산시수협에 따르면 2013년 고용노동부에 구인신청을 내 수협 조합원 등 관내에 260여명의 외국인 선원을 배정받았지만 현재 약 절반인 130여명이 어장관리를 그만 두거나 도주하였다는 것이다. > > 이같은 외국인 선원들의 고용 상황은 가뜩이나 부족한 어민들의 인력난을 부추기는 주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높다. 따라서 출입국 관리법의 현실화 등의 추가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. > > 실제로 어민들은 부족한 인력을 대체하기 위하여 그동안 베트남, 인도네시아, 동티모르 등의 국적을 가진 외국인 선원을 고용하였지만 중간 도주 등으로 외국인 선원 고용 기회조차 박탈당하고 있다. > > 출입국 관리법에 외국인을 고용한 업체나 어민들에게 소속된 근로자가 도주 등 불법 체류자가 될 경우 이후 1년 동안 외국인 고용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. > > 이에 수협 등 어민 단체에서는 “위장 취업 등 어민 고용 제도를 악용하는 외국인 선원들을 영세 어민이나 선주들이 막을 방법이 없다.”면서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. > > 어민들은 “어업 등 1차 산업 현장 인력의 노쇠화로 외국인 고용 의존도가 더욱 높아질 추세”라며, “고용노동부 차원에서 인력을 공급하는 국가와 불법체류자 등에 대한 페널티 부과 등의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.”고 말했다. > > 수협 관계자는 “영세 어업의 현실에 비추어 적정 임금 보장 등 외국인 고용 시장을 안정화 시킬 수 있는 자구 방안이 마련하기 쉽지 않은 상황”이라면서 “내국인 기준 70~80%선의 임금을 지급하는 방안 등이 모색되어야 고용 시장을 안정시킬 수 있을 것.”이라고 분석했다. > > 한편 일부 어촌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반 직업소개소 등을 통한 외국인 선원 알선 행위는 대부분 불법으로 일어나는 사항으로 어민들의 피해도 우려되고 있다. /군산=채명룡기자 > > > 웹 에디터 끝 글자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. 취소
신청 및 문의 Home > Application Home. 구직신청. 신청 및 문의 신청 및 문의 신청 및 문의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•수집항목 : 이름, 나이, 주소, 전화번호, 휴대폰번호, 최소희망급여, 최대근무기간, 군복무, 승선경력, 내용 •수집목적 : 문의접수 및 결과 회신 •이용기간 :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 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. * 단, 관계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일정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관할 수 있습니다. 동의함 동의 안 함 이름 나이 주소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최소희망급여 최대근무기간 군복무 예 , 아니오 승선경력 예 , 아니오 내용필수 이 게시판은 최소 5글자 이상, 최대 0글자 이하까지 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. 웹에디터 시작 > > > > > 외국인 선원 고용허가제 실효성 의문 > 어민 일손 대체 목적…위장 취업 등 악용 다수 제도 보완 시급 > > 2013년 11월 28일 (목) 채명룡 기자 APSUN@sjbnews.com > > > 어민들의 부족한 일손을 대신하기 위해 고용허가제를 통하여 외국인 선원들이 대거 들어오고 있지만 대부분 불법 체류를 위한 위장 취업의 경로로 이용하는 등 실효성이 의문시 되고 있다. > > 28일 군산시수협에 따르면 2013년 고용노동부에 구인신청을 내 수협 조합원 등 관내에 260여명의 외국인 선원을 배정받았지만 현재 약 절반인 130여명이 어장관리를 그만 두거나 도주하였다는 것이다. > > 이같은 외국인 선원들의 고용 상황은 가뜩이나 부족한 어민들의 인력난을 부추기는 주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높다. 따라서 출입국 관리법의 현실화 등의 추가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. > > 실제로 어민들은 부족한 인력을 대체하기 위하여 그동안 베트남, 인도네시아, 동티모르 등의 국적을 가진 외국인 선원을 고용하였지만 중간 도주 등으로 외국인 선원 고용 기회조차 박탈당하고 있다. > > 출입국 관리법에 외국인을 고용한 업체나 어민들에게 소속된 근로자가 도주 등 불법 체류자가 될 경우 이후 1년 동안 외국인 고용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. > > 이에 수협 등 어민 단체에서는 “위장 취업 등 어민 고용 제도를 악용하는 외국인 선원들을 영세 어민이나 선주들이 막을 방법이 없다.”면서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. > > 어민들은 “어업 등 1차 산업 현장 인력의 노쇠화로 외국인 고용 의존도가 더욱 높아질 추세”라며, “고용노동부 차원에서 인력을 공급하는 국가와 불법체류자 등에 대한 페널티 부과 등의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.”고 말했다. > > 수협 관계자는 “영세 어업의 현실에 비추어 적정 임금 보장 등 외국인 고용 시장을 안정화 시킬 수 있는 자구 방안이 마련하기 쉽지 않은 상황”이라면서 “내국인 기준 70~80%선의 임금을 지급하는 방안 등이 모색되어야 고용 시장을 안정시킬 수 있을 것.”이라고 분석했다. > > 한편 일부 어촌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반 직업소개소 등을 통한 외국인 선원 알선 행위는 대부분 불법으로 일어나는 사항으로 어민들의 피해도 우려되고 있다. /군산=채명룡기자 > > > 웹 에디터 끝 글자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. 취소